야근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및 이용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간단하게 야근수당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이트를 통해 야근수당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아래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순서대로 따라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야근수당 계산기 바로가기와 함께 이용 방법, 계산 공식, 법적 기준,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야근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및 이용방법


1. 구글에 ‘야근수당 계산기’를 검색합니다.
상단에 야간수당계산기라는 사이트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구글-야간수당-계산기-검색-결과


2. 사이트로 이동하신 분들은 ‘야근수당계산기’라는 페이지가 바로보입니다.
안내 되는 양식대로 받은시급, 근무시간을 입력하신 다음 [계산하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야간수당계산기-홈페이지


3. 간단한 예시로 입력한 결과 ‘야근 수당’을 계산해 봤습니다.
야근 근무를 3시간 했을 경우 하루 받을 임금은 총 44,370원 입니다. 이 와 같이 자신이 야근한 시간을 입력하여, 결과를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야근 수당을 계산할 때는 시급x시간x1.5를 곱하여 계산을 할 수도 있습니다. 직접 계산을 하고 싶으신 분들은 위 공식으로 계산을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월급일 시 (통상임금 / 월 근무시간 ) x 야간 근로시간 x 1.5))

야간수당계산기-검색-결과


4. 어떻게 계산하여 나왔는지는 [계산근거] 탭을 선택하여 볼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을 근거로 하여, 야근 수당이 나오게 되며, 야근근로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야근수당계산기-계산근거-페이지

이상으로 야근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및 이용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야근수당계산을 할 수 있는 사이트 안내로 보셔도 좋으며, 안내에 따라 야근 수당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오늘 소개드린 사이트 외에도 야근수당계산을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사이트들도 많이 있습니다. 편리한 사이트를 이용해 보셔도 좋으며, 다른 사이트는 다음 번에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생활 정보 관련 글 :


야근수당계산기 사이트 이용 팁 :

  • 야근수당계산기 사이트 상단을 보시면, [시급계산기], [주휴수당계산기], [월급계산기], [근로소득간이세액표] 등 계산기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하나의 예시로 시급 계산기는 말 그대로 시급을 계산하는 곳으로 ‘시급’, ‘일일근무시간’, ‘한달근무일수’를 입력하여,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시급이 궁금할 때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야근수당 관련 추가 내용 :

  • 야근수당 기준으로 적용 사업장은 5인 이상 사업장에만 의무로 적용이 됩니다. 5인 미만은 법적 의무가 없는 점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 적용 시간으로는 저녁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에 해당하는 근로시간이어야 합니다.
  • 추가 지급으로는 통상임금의 50% 가산 지급을 해야 하며, 휴일 근로와 중복시 2배로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야근수당은 누구에게 적용되나요?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법적으로 야간근로 수당을 의무 지급해야 합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에는 법적 의무는 없지만, 자율적으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 필요합니다.

Q2. 야근 시간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까지가 야간근로 시간입니다.
이 시간대에 근무한 시간에 대해서만 야근수당 50% 가산이 적용됩니다.

Q3. 휴일 근로와 야근이 겹치면요?
중복 적용되어 최대 2배 가산 적용됩니다.

*휴일근무(1.5배) + 야간근로(0.5배) = 2배